□ 총가구 및 평균 가구원수
ㅇ (총가구)
2020년에는 경기(503만), 서울(395만), 부산(140만) 순으로 많았으나, 2050년에는 경기(658만), 서울(380만), 경남(139만) 순이 될 전망
ㅇ (평균 가구원수)
2020년 최고 2.51명(경기)에서 최저 2.21명(경북) 수준이나, 2050년에는 2.05명(세종)에서 1.77명(강원·경북)까지 줄어들 전망
□ 가구유형별 가구
ㅇ (가구유형) 2020년 대전, 서울 등 12개 시도는 1인가구, 이외 시도는 부부+자녀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50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 될 전망
□ 고령자 가구 및 여자 가구주
ㅇ (고령자 가구)
2020년 고령자 가구 비중은 전남(33.3%), 경북(29.6%), 전북(29.4%) 순으로 높았으며, 2050년에는 전남(60.3%), 경북(59.8%) 등 10개 시도에서 50%를 초과할 전망
ㅇ (여자 가구주)
2020년 여자 가구주 비중은 서울(35.8%), 광주(35.4%) 순으로 높았으나, 2050년에는 서울, 세종, 부산 등 11개 시도에서 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정해진 미래
고령화 문제
(기술발전과 더불어 기본소득 이야기가 계속 나올 것)
1인가구 증가
(1인가구 타겟 상품들이 즐비한 가운데 중대형 평수는 계속 귀해질 것)
로봇이 노동력을 대체하며 근로시간 단축 = 여가시간 증가
(시간이 남아돌아서 오히려 문제가 생길 것)
수도권 집중화 지속/통계는 세종시를 좋게 보는 듯
(인구 소멸지역은 반드시 피해야 함)
'재테크 > 재테크 이야기 (도서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청도계(청년도약계좌), 월 70만원씩 5년 부으면 5,000만 (0) | 2022.10.23 |
---|---|
[마인드셋] 꾸준함의 힘을 믿는다. 지금의 꾸준함이 내 미래를 바꾸리라!! (0) | 2022.10.22 |
[재테크] 테슬라 AI, 뉴럴링크, 자율주행 사업모델 (0) | 2022.10.19 |
[마인드] 생각만으로 현실 바꾸기 - 좋은 영상 (하와이 대저택) (0) | 2022.10.18 |
[재테크] 내 연봉에는 이차 소득별 자동차 추천(김경필 멘토) (0)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