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흥미로운 1인가구 보고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인가구
이제 거스를 수 없는 1인 가구
연 소득 1억 직장人, 퇴근하면 `부캐`로 돈 이렇게 벌었다 - 매일경제 (mk.co.kr)
연 소득 1억 직장人, 퇴근하면 `부캐`로 돈 이렇게 벌었다
`나혼산`도 넓은 아파트서 산다 한국 1인가구 720만명…전체서 33.4% 차지 4인 이상 가구의 1.8배 수준
www.mk.co.kr
https://www.youtube.com/watch?v=z9_Tpo-PPSk
Ⅰ. 한국 1인가구 현황
1. 가구수 추이
2021년 한국 1인 가구 수는 720만 가구
지난 5년간 1인가구는 5.8% 증가
4인가구의 1.8배 수준
2030년 1인 가구 : 전체 가구의 35.6%
2040년 1인 가구 : 전체 가구의 37.9% (4인 가구의 4배)
2. 구성 및 소득 추이
전체 1인 가구 비중 20대 > 30대 > 60 대 순
남성은 30대 > 20대 > 50대 순
여성은 20대 > 60대 > 70대 순
남성은 청년 층, 여성은 고령층 비율 높음.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연소득 분포 중 3천만원 미만은 꾸준히 감소중
1인가구 중 소득 상위 10% 해당하는 가구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Ⅱ. 1인가구 바로 알기
1. 요약 - 1인가구에 대한 오해와 현실
오해1. 장기간 1인 생활을 지속하는 비율은 감소. 1인가구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향은 증가
오해2. 1인 가구 거주 유형 중 중형/대형 거주 비율이 증가. 거주 환경 개선 니즈가 높아짐.
오해3. 1인 가구는 2020년 대비 소비 13.4%p 줄고 저축은 9.8%p 증가. 재정관리에 스마트해짐.
오해4. N잡러는 생활고보다는 남는 시간을 활용하여 월급 외 추가 소득을 얻고자 함.
오해5. 위험 대비 보험 보유율 증가, 미래 위험 대비를 위한 니즈가 강화됨.
오해6. 은퇴/노후 준비 중요성 인지하고 있음
오해7. 개인형 IRP를 포함한 퇴직금/퇴직연금, 보험 및 금융투자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활용함.
오해8. 연금을 1인가구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은퇴 대비 방법으로 나타남.
2. 1인 생활 동기 및 지속 의향
1인 생활 지속 의향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의 1.5배 수준.
1인 생활 지속 이유는 '혼자가 편해서'
향후 1인 생활 지속 예상 기간을 장기보다는 단기로 보는 비율 증가.
3. 주거 환경
1인가구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아파트'
중/대형 평형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증
4. 소비와 저축
여유/비상 자금 마련을 위해 N잡을 뛰며, 계획적인 소득과 자산 관리를 통해 소비는 중리고 저축은 늘리는
5. 금융 포트폴리오 및 보험
1인가구의 금융 포트폴리오 중 유동성 자산과 주식/ETF/선물/옵션의 비율은 증가
예/적금 및 나머지 자산은 감소
위험대비 보험 가입 필수 인식.
6. 은퇴 및 노후 준비
1인 가구 평균 60세에 퇴직하고, 63.2세에 은퇴를 예상.
은퇴/노후 준비는 미
https://lifejump.co.kr/NewsView/26CB6BOE2T
혼자사는 중장년 1인가구 ‘보험에 진심’…노후 준비는 여전히 ‘미흡’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2 한국 1인가구 보고서’ 발표지난해 우리나라 1인가구 700만 가구 돌파60대 1인가구 증가세 두드러져연령 높아질수록 미래 위험 대비 위해 보험에 관심 높아 이미지=
lifejump.co.kr
'재테크 > 재테크 이야기 (도서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내 연봉에는 이차 소득별 자동차 추천(김경필 멘토) (0) | 2022.10.15 |
---|---|
[재테크] 한국은행 빅스텝 단행, 10년만 기준금리 3%시대, 다섯 번 연속 인 (0) | 2022.10.12 |
[재테크] 앙드레 코스톨라니 투자명언 (0) | 2022.10.10 |
[재테크] 금리인상의 시대 부채점 (0) | 2022.10.10 |
[재테크] 통화정책 싸이클과 위험자산 가격 변화 (0) | 2022.10.10 |